728x90 반응형 코드31 128TB를 16진수로 변환 1TB를 16진수로 변환하는 과정이다.구글 검색하면 엉망진창인 데이터가 너무 많다.초보자들이 혼동할 가능성이 높다. 8bit = 2^8 = 256 = 1Byte 1Byte = 0x100 (= 16^2 + 16^1 + 16^0) 1KB = 1024 * 1Byte = 1024 * 256 = 0x40000 1KB = 1024 * 1Byte = 0x400 * 0x100 = 0x40000참고로1024는 bit로 0100 0000 0000256은 bit로 0001 0000 00001024 * 256은 bit로 0100 0000 0000 0000 00001MB = 1024 * 1KB = 1024 * 1024 * 256 = 0x1000 0000 1MB = 1024 * 1KB = 0x400 * 0x400 * 0x100 .. 2023. 7. 7. 코드 짤 때 ChatGPT 도움 받기 질문 : torch.FloatTensor(self.data_df.iloc[index, 1:].values)/255.0 이 의미하는게 뭐야? 답변 :해당 코드는 PyTorch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. 코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: self.data_df.iloc[index, 1:]: self.data_df는 데이터프레임 형태의 변수이며, 여기서는 특정 인덱스(index)의 행과 그 이후의 열을 선택합니다. 즉, 해당 인덱스의 데이터를 추출합니다. .iloc은 행과 열의 정수 위치 인덱싱을 수행하는 메서드입니다. .values: iloc을 통해 선택된 데이터프레임을 Numpy 배열 형태로 변환합니다. .values는 데이터프레임을 Numpy 배열로 변환하는 메서드입니다.. 2023. 7. 3. 6개의 버튼을 가진 윈도우 생성 (LNK2019, LNK1120) 1. cl opener.cpp 컴파일 : 오류 발생, 내용 opener.obj : error LNK2019: __imp__GetMessageA@16 외부 기호(참조 위치: _WinMain@16 함수)에서 확인하지 못했습니다. opener.obj : error LNK2019: __imp__TranslateMessage@4 외부 기호(참조 위치: _WinMain@16 함수)에서 확인하지 못했습니다. opener.obj : error LNK2019: __imp__DispatchMessageA@4 외부 기호(참조 위치: _WinMain@16 함수)에서 확인하지 못했습니다. opener.obj : error LNK2019: __imp__DefWindowProcA@16 외부 기호(참조 위치: "long __stdc.. 2023. 6. 20. 버튼 클릭 시 메세지 출력 컴파일은 cl box.cpp user32.lib 또는 코드 상단 #pragma comment(lib, "user32") 추가 후 cl box.cpp error LNK2019 참고 : https://kaspyx.tistory.com/23 chatgpt에서 c++로 네모 버튼 눌리면 hello 출력하는 프로그램 만들어 줘 //#pragma comment(lib,"user32") //#pragma comment(lib,"gdi32") #include // 윈도우 프로시저 함수 LRESULT CALLBACK WndProc(HWND hWnd, UINT msg, WPARAM wParam, LPARAM lParam) { switch (msg) { case WM_COMMAND: // 버튼이 눌렸는지 확인 if .. 2023. 5. 16.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728x90 반응형